![]() |
![]() |
「그림2」저수지 실험통 모형설치 | |
![]() |
![]() |
「그림 3」 실험통에 원수 유입(정량 펌프) |
실험 내용 및 설비
|
「그림1」실험통
|
유효 용량은 18m3 유효 수심 1.8m (실험통 높이 2m) |
폭1.3m 감속기 장 와류발생 임펠라 부착 |
수중 펌프 및 정량 펌프 장착 |
1、연구과제명 |
미생물 제제 및 화학약제 (살초제)를 이용, 오염된 저수지의 수질개선 실험연구 |
2、연구 방법 |
부영양화 등으로 오염된 저수지를 대상으로 모형 저수지를 만들어, 살초제 및 |
수질정화의 미생물 제제를 투입해 수질정화 가부를 이화학적 및 육안으로 판단한다. |
3、모형 저수지인 실험통 제작 |
용량 약 2m3의 FRP재질 물탱크 5개를 입수하여 모형 저수지인 실험통으로 사용하였다 |
실험통의 변형을 막기위해 상부, 중앙부, 하부에 SUS으로 bending처리, 좌측 한쪽에 |
저수지의 물이 실험통 바닥까지 유입될 수 있도록 해 실험통 상부에 물이 흐르도록 |
유출구를 설계했다 |
수질개선 실험을 하기 위한 모형 실험통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. |
4、모형 저수지인 실험통 운전
|
부영양화가 발생한 경기도 하남시 고굴저수지(사진1) 제방에 모형 저수지인
|
실험통 5셋트를 양지에 설치했다. (사진 2, 3참조)
|
수리학적HRT는 초류의 세포함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약 13일에 걸쳐 정량펌프로 |
24시간 유입 시킨 정량펌프를 이용해 유입수의 유입지점은 저수지 제방에서
|
약 2m 들어간 위치로 수표면으로부터 30cm깊이로 채수했지만, 이물질이
|
유입되지 않도록 유입설비에 2mm의 망을 덮인 유입수를 실험통 내부의 바닥까지
|
유입시켜, 유출수는 유입구의 반대쪽에 자연유하 되도록 했다. 실험통 내부는
|
변환 장치기에 의해 물이 흐를 수 있도록 교반기로 5.5rpm이 되도록 설치하고,
|
유속은 고굴저수지의 유속을 유속계로 측정해 동일하게 조정했다.
|
실험통 설치는 (그림2) 와 같이 배치했다.
|
2004년 9월6일 각 실험통에 유입수를 넣는다.
|
(2)정량 펌프를 이용, 약 140리터가 되도록 유입/유출 시킨다.
|
(1) 살초제 및 수질정화 미생물제의 특성과 투입방법은 다음과 같다.
|